[독서]의 정원

[서평] 무례한 말, 이렇게 받아쳐라! 『만만하지 않은 한마디』 서평 & 핵심 기술 정리

GraFero 2025. 3. 22. 07:16

무례한 말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마음 고생한 적 있나요? 『만만하지 않은 한마디』는 감정 상하지 않고, 내 자존감을 지키며 단호하게 대처하는 7가지 말하기 기술을 알려줍니다.



 

저도 MBTI의  I 성향이 강하다고 느껴서 그런지, 간혹 주위의 사람들이 이렇게 '훅' 무례하게 들어올 때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난감한 경우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그 상황을 ‘되받아치는 기술’로 바꿔낼 수 있습니다.

『만만하지 않은 한마디』를 통해 이런 상황에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참고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이 책의 저자 쓰카사 타쿠야는 단순한 말하기 전문가가 아닙니다. 그 자신이 따돌림과 직장 내 괴롭힘, 정신적 학대, 우울증까지 겪은 사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조언은 단순히 기술적인 ‘화법’이 아니라, 상처받지 않고 살아가기 위한 생존 전략에 가깝습니다.
 
그는 이런 삶의 위기 속에서 깨달은 것이 있습니다:
 
 
상대방을 화나게 하지 않고, 공격적인 말과 행동을 무력화하면서,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한다.

이것이야말로 진짜 강한 사람이 하는 대화입니다.
 
그래서 그가 만든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철학을 바탕으로 합니다:

 

  • 절대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 공격을 흘려보내되, 필요한 말은 단호하게 한다.
  • 상대의 심리를 꿰뚫되, 비난은 하지 않는다.
  • 그리고 무엇보다, 내 자존감은 지킨다.

 
이런 배경 덕분에 그의 말에는 ‘진심’과 ‘공감’이 담겨 있습니다. 말 그대로, "다른 이들로부터 말로 상처받던 사람에게, 꼭 필요한 말로 어떻게 대응해야하는지"를 알려주는 사람입니다.
 
 
혹시 지금 무례하게 굴거나 기분 상하게 하는 사람이 있으신가요?
이제 되받아치지 못했던 지난 나에게 작별을 고할 순간입니다.
 
몇가지 핵심전략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핵심 전략

 

✅ ① 사실 인정 (공격을 없던 일처럼 만든다)

핵심 전략: 상대의 말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사실로 가볍게 인정해 흘려보낸다.
 

  • 무례한 말: “일처리가 왜 이렇게 느려?”
  • 대응 예시:맞아요, 좀 느리죠. 그만큼 실수는 안 하려고 하니까요.
  • 효과: 상대는 당신이 상처받지 않는다는 걸 느끼고 더 이상 물고 늘어지기 어렵습니다.
  • 포인트: 사실은 사실로 받아들이되, 감정은 실지 않습니다. 무덤덤한 표정 + 느긋한 말투가 중요합니다.

 

② 책임 추구 (자신이 한 말에 책임지게 만든다)

 

핵심 전략: 상대의 말을 되묻고,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히게 해서 감정적 공격을 논리적으로 전환시킨다.
 

  • 무례한 말: “넌 정말 이상해.”
  • 대응 예시:이상하다고 하셨는데, 어떤 점에서 그렇게 느끼셨어요?
  • 추가 대응:그 말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싶어요. 다시 말씀해주시겠어요?
  • 효과: 막말의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하면, 대부분 당황하거나 뒷말을 흐리게 됩니다.
  • 포인트: 침착하게, 메모하는 척하면서 되묻는 것이 상대를 더 긴장하게 만듭니다.

 

✅ ③ 리프레임 (상대의 말을 내 방식으로 재구성)

핵심 전략: 부정적인 말을 긍정적인 관점으로 다시 해석해, 주도권을 되찾는다.
 

  • 무례한 말: “넌 너무 예민해.”
  • 대응 예시: “네, 예민하죠. 덕분에 작은 문제도 금방 캐치해서 도움 드릴 수 있잖아요.
  • 또 다른 예: “또 살쪘네?” → “맞아요~ 살쪄서 더 건강해졌어요.”
  • 효과: 공격이 칭찬처럼 들리게 되면, 상대는 더 이상 도발하고 싶은 마음을 잃습니다.
  • 포인트: ‘그래서’, ‘덕분에’, ‘그렇기 때문에’ 같은 연결어를 활용해 흐름을 반전시킵니다.

 

✅ ④ 도움 요청 (상대의 전의를 꺾는다)

핵심 전략: 일부러 약한 모습을 보여주며 상대의 우월감을 자극, 공격 의지를 무력화시킨다.
 

  • 무례한 말: “이것도 못 해? 진짜 한심하다.”
  • 대응 예시: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좀 어렵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언 주실 수 있을까요?
  • 효과: 상대는 자신이 우월하다고 느끼며 공격을 멈춥니다.
  • 포인트: 진짜 약한 척 연기하는 겁니다. 당신이 무능해서가 아니라, 전략적으로 낮추는 겁니다.

 

✅ ⑤ 비교 (불필요한 말 막기)

핵심 전략: ‘다른 사람은 안 그런데’ 식의 비교나 일반화에 맞서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한다.

  • 무례한 말: “다른 사람들은 다 알아서 잘만 하더라?”
  • 대응 예시:그럴 수도 있겠네요. 대신 저는 제 방식대로 확실하게 하려고 합니다.”
  • 추가 대응:다들 그런 건 아니더라고요. 혹시 누가 그렇게 했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 효과: 비교 프레임에서 빠져나와 주체적인 입장을 지킬 수 있습니다.
  • 포인트: '누구나', '당연히' 같은 일반화를 구체화 요청으로 깨뜨리세요.

 

✅ ⑥ 반전 (상대를 당황시키는 한마디)

핵심 전략: 냉정하게 “그래서요?”, “그게 전부인가요?” 같은 말을 던져서, 상대를 스스로 돌아보게 만든다.

  • 무례한 말: “그렇게 게을러서 뭐가 되겠어?”
  • 대응 예시: “그럴 수도 있겠죠. 그래서요?
  • 강력한 표현:이제 다 하셨어요?”, “그 말이 끝인가요?
  • 효과: 자신의 말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힘 있는 ‘정지 버튼’입니다.
  • 포인트: 무표정 + 짧은 정적이 핵심입니다. 절대 웃지 마세요.

 

⑦ 재정의 (모호하거나 무의미한 비판에 맞서기)

핵심 전략: ‘그게 무슨 의미인가요?’, ‘말씀하신 의미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식으로 말의 본질을 재정의하게 만든다.

  • 무례한 말: “넌 너무 감정적이야.”
  • 대응 예시: “감정적이라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 추가 대응: “그 말의 기준이 궁금하네요. 감정적이지 않은 건 어떤 모습인가요?”
  • 효과: 비판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상대가 논리적으로 설명하게 유도합니다.
  • 포인트: 당신의 가치관을 침해하는 모호한 말엔 ‘재정의’로 맞서세요.

 
 


# 한 걸음 더 , 실전 활용 예시 

 

✅ ① 사실 인정 

 * 공격을 무력화하고 감정 없이 넘기는 기술

 
💼 직장

  • 상사: "일 처리가 왜 이렇게 느려?"
  • 나: "맞습니다, 이번 건 좀 느렸죠. 대신 꼼꼼히 처리해서 실수는 없었어요."

👨‍👩‍👧‍👦 가족

  • 부모: "넌 왜 그렇게 정리를 못 하니?"
  • 나: "네, 저 원래 좀 정리 못 해요. 그래서 주말마다 집중해서 정리하곤 해요."

💕 연인

  • 연인: "넌 왜 그렇게 둔해?"
  • 나: "맞아, 눈치 없단 소리 자주 들어요. 대신 솔직하잖아~ 😊"

🤝 친구

  • 친구: "야 너 진짜 눈치 없다ㅋㅋ"
  • 나: "맞지! 근데 그게 내 매력 아니겠어?"

 
② 책임 추구   

* 상대의 말에 책임을 묻고 구체화를 요구

 
💼 직장

  • 상사: "넌 참 비효율적으로 일해."
  • 나: "혹시 어떤 부분이 특히 비효율적으로 보였는지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 가족

  • 형제자매: "너 진짜 이상해."
  • 나: "그 말 조금 막연해서 그런데, 뭐가 그렇게 이상해 보여?"

💕 연인

  • 연인: "넌 정말 매력 없어졌어."
  • 나: "갑작스러운데… 구체적으로 어떤 점에서 그렇게 느꼈어?"

🤝 친구

  • 친구: "너랑 있으면 피곤해."
  • 나: "왜 그렇게 느꼈는지 한 번 말해줄래? 내가 놓친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니까."

 
✅ ③ 리프레임

* 부정적 말을 긍정으로 전환하기

 
💼 직장

  • 동료: "너 너무 고지식해."
  • 나: "그쵸, 원칙적인 편이에요. 그래서 실수 없이 일 처리하는 게 강점이에요."

👨‍👩‍👧‍👦 가족

  • 부모: "넌 참 융통성이 없어."
  • 나: "그래서 오히려 흔들리지 않고 꾸준한 거 아닐까요?"

💕 연인

  • 연인: "넌 너무 감성적이야."
  • 나: "맞아, 그래서 당신 기분도 잘 읽으려고 노력하잖아. 😊"

🤝 친구

  • 친구: "넌 진짜 유난 떨어."
  • 나: "그래, 디테일한 걸 좋아해서 그래. 그래서 파티 준비는 나한테 맡기잖아!"

✅ ④ 도움 요청

* 일부러 약한 모습 보여주며 공격 무력화

 
 
💼 직장

  • 상사: "이것도 모르냐?"
  • 나: "네, 잘 몰라서 요즘 고민이 많아요. 혹시 짧게라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가족

  • 부모: "그 나이 먹고 아직도 이걸 몰라?"
  • 나: "그게 좀 헷갈려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연인

  • 연인: "그것도 몰라? 바보야?"
  • 나: "나 진짜 그 부분 약해. 당신이 알려주면 금방 배워요!"

🤝 친구

  • 친구: "넌 왜 이렇게 눈치가 없냐ㅋㅋ"
  • 나: "나 진짜 눈치 더럽게 없어. 도와줘, 다음부턴 어떻게 하면 돼?"

✅ ⑤ 비교 차단

* "다른 사람은 다 하는데?" 식 말에 자기주도적 대응

 
💼 직장

  • 상사: "다른 직원들은 벌써 끝냈더라?"
  • 나: "그분들 속도 빠르시죠. 저는 정확도를 우선하다 보니 조금 더 시간 걸립니다."

👨‍👩‍👧‍👦 가족

  • 부모: "네 동생은 벌써 결혼했는데 넌 뭐하니?"
  • 나: "네, 동생은 인생 빠르게 사네요. 전 제 템포로 살고 있어요."

💕 연인

  • 연인: "내 친구 커플은 매일 연락하던데?"
  • 나: "우린 우리 방식이 있잖아. 꼭 같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

🤝 친구

  • 친구: "다른 애들은 다 나가 놀던데 넌 왜 안 나와?"
  • 나: "나는 좀 혼자 있는 걸 좋아하더라고. 나중에 분위기 될 때 꼭 나가자!"

 
✅ ⑥ 반전

* 공격적인 말에 “그래서요?”로 당황시키기

 
💼 직장

  • 동료: "너 그렇게 해서 진급은 물 건너갔겠다."
  • 나: "그래서요? "

👨‍👩‍👧‍👦 가족

  • 부모: "그렇게 살아서 뭐가 되겠니?"
  • 나: "지금은 제 방식으로 충분히 잘 살고 있어요. 그래서 어떻게했으면 좋겠어요?"

💕 연인

  • 연인: "이런 성격으로는 결혼 못하겠어."
  • 나: "그럴 수도 있겠지. 그래서 지금 우리가 뭘 얘기하고 싶은 거야?"

🤝 친구

  • 친구: "너 그러다 다 친구 끊긴다?"
  • 나: "그럴 수도 있겠네. 그래서 지금 넌 나한테 뭘 말하고 싶은 거야?"
덧) 다만,  '반전'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 특유의 공격적인 어투로 인해 상대방과 감정이 상하거나 원하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도 있지 않나 우려가 됩니다. 가급적이면 다른 방법을 먼저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 ⑦ 재정의

* 모호하거나 모욕적인 말에 정의를 요구

 
💼 직장

  • 상사: "넌 참 프로답지 못해."
  • 나: "그 말이 조금 추상적인데요, 어떤 부분이 그렇게 느껴졌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 가족

  • 부모: "넌 참 이상해졌어."
  • 나: "어떤 점에서 그렇게 느끼셨어요? 변화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연인

  • 연인: "넌 진짜 정이 떨어져."
  • 나: "그 말 속에 어떤 감정이 담겨있는 거야? 나한테 기대했던 게 있었던 걸까?"

🤝 친구

  • 친구: "요즘 너 좀 별로야."
  • 나: "무슨 의미야? 내가 놓친 부분이 있다면 말해줘."

# 중요한 것은 조금씩 시도해보는 것이 아닐까요?

 
여러분께서도
직장, 가족, 친구 사이에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모르는 상황이 있으신가요?
 
우리의 삶은 매번 실전입니다. 
 
위 7가지 방법 중 '아, 이거는 괜찮네'라고 생각되시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그냥 '괜찮은 방법이네'라고 생각하고 넘기지 마시고 하나씩이라도 시도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모두 상황, 여건, 환경이 다양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통할 수 있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단순히 보고 넘기는 것보다 조금씩 시도해가는 과정속에서 
여러분 스스로의 마음을 지킬 수 있는 여러분 만의 방법이 
확립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위 7가지 방법을 적절히 응용하셔서 
여러분의 마음을 잘 지키실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여러분의
지금, 그리고 내일을 응원합니다.
"Step by Step, Ferociously" 
감사합니다.
 
- 그라페로 올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