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와 경제]의 정원

경제따라잡기 : OECD 경제전망 보고서(25.3월)를 통해

GraFero 2025. 3. 20. 09:29

 

불확실성 속에서의 경제 운용(Steering through Uncertainty)

 
 

2025년 3월 OECD 경제 전망(Interim Report)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불확실성 속에서의 경제 운용(Steering through Uncertainty)”을 주요 테마로 삼고 있으며, 글로벌 경제의 성장 전망, 인플레이션, 주요 위험 요소, 정책 권고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2024년 세계 경제는 예상보다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했지만, 최근 들어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2025~2026년에는 성장 둔화가 예상됩니다. 오늘은 OECD 경제 전망의 핵심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경제가 어떻게 흘러갈지, 그리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주요 경제 변수는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1. 2025년 세계 경제 전망: 성장 둔화 예상

 

OECD는 2025년과 2026년에 걸쳐 세계 경제 성장률이 점진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세계 GDP 성장 전망

 

  • 미국, 유럽, 중국 모두 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유럽과 일본의 경기 둔화가 심각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의 성장률도 점진적으로 둔화될 전망
  • 캐나다와 멕시코는 무역 갈등으로 인해 더욱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큼

 

📌 주목할 점

OECD는 무역 마찰, 지정학적 불안정성, 정책 불확실성이 경제 성장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2. 주요 경제 이슈: 무역 분쟁과 인플레이션

 

1) 미·중 및 북미 무역 갈등 심화

 

OECD 보고서에서는 최근 몇 개월 동안 무역 마찰이 심화되면서 세계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습니다.

  •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20%)를 부과했으며, 이에 대한 중국의 보복 조치 예상
  •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며, 이에 따른 북미 지역 내 교역량 감소 예상
  • 유럽도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무역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음

 

📌 왜 중요한가?

  • 글로벌 무역 긴장은 세계 경제 성장 둔화, 기업 투자 위축, 소비자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음.
  • 특히 무역 개방도가 높은 한국과 같은 국가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음.


2) 인플레이션  :  완화될까?

OECD는 2025~2026년 동안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지만, 여전히 주요국의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보았습니다.

  • 미국, 유럽의 인플레이션은 점진적으로 둔화되겠지만, 목표 수준(2%)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음.
  • 한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도 임금 상승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유지될 가능성이 큼.
  • 러시아, 브라질, 인도 등의 신흥국에서는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 있음.

 

📌 주목할 점

  • 무역 마찰과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음.
  •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 정책을 조정하는 시점을 놓고 고민할 것으로 보임.

3. 주요 위험 요소

 

OECD는 2025~2026년 세계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

 
1️⃣ 무역 분쟁 확대 → 더 높은 관세 부과 시 글로벌 성장 둔화
2️⃣ 인플레이션 지속 → 기대보다 높은 인플레이션이 유지될 경우 금리 인하가 지연될 가능성
3️⃣ 금융시장 변동성 증가 → 금융시장 불안이 기업 투자와 소비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
4️⃣ 지정학적 위험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등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음
 

📌 주목할 점

미국 대선(2024년 11월) 이후 새로운 정책 방향이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4. OECD의 정책 권고: 중앙은행과 정부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1) 금리 정책

  • 유로존과 영국: 2025년 하반기까지 점진적으로 금리 인하 예상.
  • 미국: 2026년 초까지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음.
  • 일본: 2025년부터 금리 인상 가능성 있음.


2) 정부 재정 정책

  • 각국 정부는 재정 지출을 신중하게 조정, 특히 무역 마찰로 인한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 필요.
  • 디지털 경제, AI, 친환경 기술 등에 대한 투자 확대 필요.

5. 결론: 불확실성이 크지만, 대응 전략이 중요

보고서에서는 2025년과 2026년 세계 경제는 둔화될 가능성이 크며, 무역 마찰과 인플레이션이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 핵심 요약

  • 경제 성장 둔화 전망 (미국, 유럽, 중국 모두 성장률 감소)
  • 미·중 무역 전쟁 및 북미 무역 갈등 심화 가능성
  • 인플레이션 둔화 예상되나, 일부 국가는 목표치를 초과할 가능성
  • 금리 정책 조정 필요 (각국 중앙은행의 대응이 중요)
  • 지정학적 리스크(전쟁, 정치적 불안정성) 고려해야 함

 


앞으로 우리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다음과 같은 준비를 통해 차분히 대응해나가야할 것 같습니다.

1️⃣ 금리 변동성에 대비한 금융 전략 마련
2️⃣ 무역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책(특히 수출 기업은 대체 시장 고려)
3️⃣ AI, 디지털 경제, 친환경 산업 투자 확대
 
 


 


여러분의
지금, 그리고 내일을 응원합니다.
"Step by Step, Ferociously" 
감사합니다.
 
- 그라페로 올림
 
 

 

반응형

'[부와 경제]의 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테슬라 마스터플랜  (2) 2025.03.17